[Aws]ELB #8 : HTTPS 설정
·
aws
✅ 1. HTTPS 리스너 추가하기이렇게 설정하고 저장하면 약 5초 내외로 HTTPS 적용이 완료됩니다.✅ 2. HTTPS 적용 확인하기웹 브라우저에서 본인의 도메인 앞에 https://를 붙여 접속해보세요.정상적으로 접속된다면 HTTPS 리스너가 잘 작동하고 있는 것입니다.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보이면 SSL이 제대로 적용된 상태입니다.✅ 3. HTTP 요청도 HTTPS로 자동 전환되게 만들기현재 상태에서는 https://도메인으로는 안전하게 접속되지만,http://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여전히 암호화되지 않은 연결로 접속됩니다.이걸 해결하려면 HTTP 요청을 HTTPS로 자동 리디렉션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.설정 방법:1. 기존 HTTP(포트 80) 리스너 삭제리디렉션을 새로 구성하기 위해 기존..
[Aws]ELB #7 : HTTPS 적용을 위한 인증서 발급
·
aws
HTTPS를 적용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SSL 인증서를 발급받는 것입니다.AWS에서는 이 작업을 아주 간편하게 AWS Certificate Manager(ACM) 서비스를 통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.💡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HTTPS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주고받는 통신 방식입니다.그 암호화의 핵심이 바로 인증서(SSL/TLS Certificate)입니다.즉, HTTPS 적용 = 인증서 적용입니다.✅ 1. AWS Certificate Manager(ACM) 접속AWS 콘솔 상단 검색창에서 Certificate Manager 또는 ACM을 검색해 진입합니다.이후 [인증서 요청] 버튼을 클릭합니다.✅ 2. 인증서 요청하기✅ 3. 도메인 소유권 검증AWS가 인증서를 발급해주기 전에, 해당 도메인을 내가 ..
[Aws]ELB #6 : 도메인 연결
·
aws
✅ 1. 기존 EC2에 연결돼 있던 레코드 삭제처음 도메인을 설정했을 때, 아마도 Route 53에서 도메인을 EC2의 퍼블릭 IP나 인스턴스와 직접 연결해둔 경우가 많습니다.이제는 그 구조를 버리고,ELB를 통해 EC2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구조로 전환할 것이기 때문에,기존의 EC2와 직접 연결된 레코드는 삭제해야 합니다.A 레코드나 CNAME 레코드에 EC2 IP 또는 EC2 DNS가 설정돼 있다면, 해당 항목을 삭제하세요.✅ 2. 도메인을 ELB에 연결하기Route 53에서 도메인을 ELB로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1) 호스팅 영역(Hosted Zone)으로 이동Route 53 콘솔에 접속한 후,설정하고자 하는 도메인의 호스팅 영역을 클릭합니다.2) 레코드 생성레코드 이름: 도메인 접두사 없..
[Aws]ELB #5 : 셋팅 - 리스너 및 라우팅 / 헬스 체크
·
aws
✅ 1. 대상 그룹(Target Group) 설정하기📌 대상 그룹이란?ELB는 단독으로 요청을 EC2 인스턴스에 전달하지 않습니다.요청을 전달할 EC2 인스턴스들을 미리 묶어두는 단위를 **대상 그룹(Target Group)**이라고 부릅니다.즉, ELB는 대상 그룹을 통해서만 인스턴스와 연결됩니다.1) 대상 그룹 생성대상 그룹을 새로 생성합니다.대상 그룹은 ELB에 요청이 들어왔을 때 트래픽을 전달할 EC2 인스턴스 목록입니다.2) 대상 유형 선택대상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데, 우리는 EC2 인스턴스에 직접 트래픽을 전달할 것이므로‘인스턴스’ 옵션을 선택합니다.3) 프로토콜 및 포트 설정프로토콜: HTTP포트: 80IP 주소 유형: IPv4프로토콜 버전: HTTP1이 설정은 ELB가 HTTP 요청을 ..
[Aws]ELB #4 : 셋팅 - 보안그룹
·
aws
✅ 1. EC2 보안 그룹 생성하기먼저, AWS 콘솔 상단 검색창에서 EC2를 검색하고 EC2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.왼쪽 사이드바에서 [보안 그룹] > [보안 그룹 생성]을 클릭합니다.🔧 설정할 내용보안 그룹 이름: elb-public-access (예시)설명: ELB용 보안 그룹 (선택)인바운드 규칙:타입: HTTP, 포트: 80, 소스: 0.0.0.0/0 (모든 IP 허용)타입: HTTPS, 포트: 443, 소스: 0.0.0.0/0이 설정을 통해 누구나(전 세계 모든 IP) ELB에 HTTP와 HTTPS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.⚠️ 실제 서비스에서는 IP 제한을 거는 것이 보안에 더 좋지만, 지금은 실습이 목적이므로 모두 허용합니다.✅ 2. ELB 생성 창에서 보안 그룹 연결하기보안 그룹을 생성했..
[Aws]ELB #3 : 셋팅 - 기본 구성
·
aws
이번엔 실제로 AWS Elastic Load Balancer(ELB)를 설정하고, HTTPS를 적용하는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 글은 AWS 입문자 기준으로 작성된 실습 가이드입니다. 복잡한 개념보다는 "어떻게 설정하는지"에 초점을 맞췄습니다.✅ 1. 리전 선택하기먼저 AWS 콘솔에 접속해서 EC2 > 로드밸런서 메뉴로 들어갑니다.여기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리전(Region) 선택입니다.💡 실습에 사용하는 EC2 인스턴스가 어떤 리전에 있는지 확인하고, 동일한 리전을 선택해야 합니다.✅ 2. 로드 밸런서 유형 선택하기2.1 로드 밸런서 생성하기로드 밸런서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.2.2 로드 밸런서 유형 선택세 가지 로드 밸런서 유형 중 Application Load Balancer (ALB)를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