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Aws]Route 53 #3 : 도메인을 EC2에 연결
·
aws
앞에서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는 방법을 살펴봤다면,이번엔 그 도메인을 실제 EC2 인스턴스와 연결해서 웹사이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봅니다.✅ 1단계: 호스팅 영역에서 레코드 생성AWS 콘솔에서 Route 53 > 호스팅 영역(Hosted zones) 으로 들어갑니다.도메인을 구매하면 자동으로 생성된 호스팅 영역이 보일 거예요.이제 레코드 생성(Create record) 버튼을 클릭합니다.✅ 2단계: A 레코드로 연결할 IP 입력EC2 인스턴스를 고정 IP(Elastic IP) 또는 퍼블릭 IP로 설정해놓은 상태라면,해당 IP를 A 레코드에 입력해 도메인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.아래는 예시 설정입니다:레코드 이름: 비워두면 jscode-edu.link 그대로 적용됨값: EC2 퍼블릭 IP..
[Aws]Route 53 #2 :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
·
aws
앞서 Route 53이 어떤 서비스인지, 도메인과 DNS 개념까지 살펴봤습니다.이번엔 실제로 Route 53을 통해 도메인을 구매하는 방법을 하나씩 따라가 봅니다.✅ 1단계: Route 53 접속 및 도메인 검색AWS 콘솔에서 Route 53 서비스로 이동한 뒤,왼쪽 메뉴에서 도메인 등록 (Register domain) 항목을 클릭합니다.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Check 버튼을 누르면,해당 도메인이 사용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사용 가능한 도메인은 아래처럼 표시되며,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고 Add to cart를 클릭합니다.✅ 2단계: 도메인 등록 정보 입력다음 단계로 넘어가면,도메인 등록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.이때 이메일 주소는 반드시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.✅ 3단계: ..
[Aws]Route 53 #1 : Route 53이란? / DNS란?
·
aws
💡 한 줄 요약: Route 53은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하는 AWS의 DNS 서비스입니다.웹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꼭 만나게 되는 게 도메인과 DNS입니다. 특히 AWS 환경에서 작업한다면 Route 53이라는 이름도 자주 듣게 되죠. 이 글에서는 Route 53이 뭔지, 왜 쓰는지, 실무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간단명료하게 정리해봅니다.✅ 도메인(Domain)이란?도메인은 우리가 인터넷에서 자주 접하는 주소입니다. 예를 들어:www.naver.comdaum.netyoutube.com이런 주소들이 다 도메인입니다. 원래 컴퓨터끼리는 IP 주소로 통신합니다. 예: 192.168.0.1, 12.134.122.11 같은 숫자 조합이죠. 문제는 이런 숫자를 사람이 외우기엔 너무 불편하다는 것. 그래서 ..